본문 바로가기

JAVA

java 시험 관련 객체지향 속성,자바속성 데이터 타입 선언, 연산자 사용법, 조건문 반복문, 객체, 클래스, 상속,오버라이딩, 다형성, 인터페이스, 추상클래스, 쓰레드, 셉션?,,자료구조, 예외처리 출제의도는 각 부분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 자바와 객체지향 특성 변수 선언 선언한 변수 제대로 쓸줄 아는지 연산을 했을때 적절한 결과를 예측 가능 한지.. 연산 과정에서어떻게 처리 되니깐 어떻게 할당되고..머 이런거 알고 있는지 연산자 사용법 제대로 알고 있는지 스트링 문자열을 제대로 쓸줄 아는지,,결합,, 배열 선언을 제대로 선언하고 사용 하는지 반복 접근문, 제대로 이해 하는지 어떤 상황을 주고 클래스 선언 제대로 할줄 아는지.. 생성자, 오버라이딩, 상속, 생성자 쓰는 방법, 오버로딩 이건 섞어 져서 나온다. 꼼꼼하게 봐서.. 더보기
16장 자료를 저장하는 방식 대표적인거 List -(1차원으로,sequence(열),중복가능) Set -중복자료를 넣을 수 없다 . Map 를 쌍으로 집어 넣어서 key로 자료를 찾는다. 일반적으로 key값은 String으로 많이 쓴다. List 와 Set은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서 상속을 받는다. 모두다 인터페이스 타입 이다. 그래서 모두 다 구현해야 한다. Map은 592페이지 참조 ArrayList에 만약에 Dog를 넣으면 object타입으로 들어 간다. 내올때도 object타입으로 나온다. 그래서 (Dog)으로 캐스팅해서 쓴다. 이러면 불편해서 ArrayList으로 타입으로 바로 넣을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나올때도 Dog타입으로 나온다. 이런게 제네릭이다. 제네릭 선언방법(578p) 이런거 할.. 더보기
15장 스레드 스레드가 먼가를 아는가가 중요 하다. 컴퓨터는 원래 하나만 처리 할 수 있으나 여러개가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사기치는것 이렇게 만들기 위해서는 Thread라는 클래스가 있다. 메인 메소드를 제외하고 가장 최초로 호출되는 메소드는 run()이라는 메소드이다. 인터페이스로 Runable 을 구현한다음에 Thread한테 인자를 넘겨 준다. 멀티스레딩 -다른 작업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메시디를 불러오는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스레드르 여러개 만들어서 여러개의 작업을 거의 동시에 수행할수 있도록 하면 된다. 자바에서의 멀티스레딩 -자바api에 들어있는 Thread클래스 사용 -java.lang.Thread Thread t = new Thread(); t.start(); 스레드 -하나의 cup에서 .. 더보기
자바 11장(예외처리) 예상치 못한 상황 -파일이 없는 경우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 -장치를 사요할 수 없는 경우 이런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자바의 예외 처리 메커니즘 -try/catch블록 -예외선언 예외 상황에 대비해라 내가 사용할려고 하는 메소드가 Exception의 throws를 한다고 하면 반드시 try catch를 사용 해야 한다. try/catch블록 -예외를 처리할 것임을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쓰임 확인예외 코드에서 예외를 던진다면 반드시 메소드를 선언하는 부분에서............. 우리가 exception쓰는건 외부의 예외적인 상황을 위하여 하는거지 코드가 잘못되서 작성하는건 아니다. 무조건 실행할 내용 -예외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할 코드는 finally블록에 써준다. try .. 더보기
자바 10장 여기 범위에서 한문제나 두문제 나온다. 10-11-14-15-16 11장,15에 쓰레드, 12에 예외 int boxing -> integer autoboxing 더보기
자바용어 2 1장. 자바특징:(추상화,상속성,다형성) 캡슐화와 데이터 은닉(private, 게터,세터) 다형성/메서드 오버로딩 상속성(private와 생성자는 상속을 못받는다.) 생성자도 여러 개 생성 가능(매개 변수를 변형시켜서)… 자바는 어떤식으로 돌아가는가? JVM이 읽을 수 있게 작성된게 classfile이다. JVM에서는 클래스파일이 있는가 확인 후 각각의 클래스를 메모리에 전부다 저장을 해 놓는다. 그리고 순서에 의해 처리 한다. static 온전한 단어 다 써서 메소드 이름을 만든다.(처음 보는사람도 대충 알 수 있게) 클래스 속성과, 행위를 나타낸다. 인스턴스 변수(속성), 인스턴스 메소드(행위) 객체지향 코드 반복된 메소드를 담아 놓아서..상속 시키면 관리가 편하다. 상위 클래스 메소드가 맘에 안들면.. 더보기
JAVA 기본 용어..1 변수란? 무언가를 임시로 담아 두기 위한 용도 예)int a = 10; int형 a에 정수 10을 대입해준다. 상수는 10이고 값이 바뀌지 않지만 변수 a는 값이 변할 수 있다. 원시변수 인스턴트 변수, 지역 변수 int, bool, float,double 객체 레퍼런스 = 객체에 대한 참조 원시 변수의 규칙: int count; (type) 변수이름 count = 10; 이런식으로 일단 변수에 대한 정의를 해주고 그다음 다시 값을 대입해줄 수 있다. 변수의 원시(기본) 유형: (boolean),문자형(char(2)),정수형숫자(byte(1),short(2),기본형 : int(4),long(8)), 부동소숫점 소수(flaot(4),기본형 : double(8)) ex) int x =24; int형의 x에 .. 더보기